사람을 생각하는 기술과 함께 합니다.

 

[CEO 시니어레터 24] 초고령사회 당신의 노후 경제는? 인생대학원 교수양성과정에서 배울 첫 번째 경제과목 소개

조회수 417

시니어의 행복 증진을 위해서 힘쓰는 (주)캐어유에서 8월 19일, '인생대학원 교수양성 과정'을 개강한다. 교수법을 포함해서 총 9과목을 강의하게 되는데, 그 강의 내용을 주별로 하나씩 알려드리고자 한다.

가장 먼저 '경제(經濟, Economy)' 과목부터 소개하고자 한다.

경제과목에서는 크게 경제와 인구, 생산과 소비의 주체인 사람 그리고 인구를 중심으로 수입과 소득, 노후 빈곤의 실태, 노후준비지원법과 노후준비지표, 경제적 은퇴준비, 노후자금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국민이전계정과 자가경제진단, 그리고 금융 이해력을 점검하는 시간을 갖는다.

경제란 무엇인가? 하루에 한두 번씩 듣게 되는 단어인데, 그 의미를 탐구하는 시간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활에 필요한 재화나 용역을 생산, 분배, 소비하는 모든 활동 또는 그것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를 말한다. 그런데 사실 경제(經濟)라는 단어는 경세제민(經世濟民)의 준말로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현대 경제학에서의 주요 연구대상은 세계의 경제상태, 개개인과 기업이 노동, 소비, 투자, 고용, 가격 등을 어떻게 결정하는지에 대한 것을 다루고, 이와 관련해서 경기의 침체와 호황, 그리고 부의 불균형과 같은 현상과 그의 원인을 찾아가는 공부도 하게 된다.

저출산 문제가 대두되면서 '인구'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다. 오래된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1만년 전에 한국의 인구는 불과 1만 명이 넘었다는 것, 지금은 남한의 인구가 5천만 명을 넘어셨지만, 베이비붐 세대의 시작인 1956년에 인구는 2천7백만에 불과했다는 것도 알아간다.

한국의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데,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도 알아보고, 급속한 고령화로 인한 실버 민주주의의 탄생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고령자의 소득원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소득의 규모에 대해서도 통계자료를 통해서 각국과 비교하면서 학습한다.

노인빈곤도 중요한 주제로 OECD가 언급한 한국 노인 빈곤의 실태애 대해서 자료들을 살펴보면서, 이에 따른 갑론을박에 대한 시각도 짚어보게 된다.

지난 2015년 12월부터 시행되고 있는 전 국민 노후준비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고, 노후 준비 상태에 대한 공식적인 자료들을 살펴보고, 직접 나의 자산을 계산해보고, 노후 자금으로 얼마를 어떻게 나누어 쓸지에 대해서 함께 실습하며 공부해본다.

경제적 은퇴준비를 위해서 6층성으로 탄탄하게 쌓아야 한다는 것을 배우는데, 1층은 국민연금, 2층은 퇴직연금으로 3층은 개인연금, 4층은 주택연금으로 6층은 자산소득으로 노후를 대비하여야 한다는 것을 배운다. 그런데 교재에는 5층성에 대해서 언급이 없다. 5층은 강의와 실습을 하면서 배울 예정이다.

은퇴준비를 더 젊은 나이에 시작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공부하고 은퇴준비 6층성을 층별로 쌓는 방법을 알아보게 된다.

가장 중요한 공부는 자기 이전계정으로 수강자 전원이 각자 자신의 현재 자산과 부채 그리고 순자산을 분석하고, 월 수입과 지출을 통해서 월 수지 분석을 하는 등 워크북을 통해서 직접 작성하고 계산하고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배운다. 이부분이 본인의 은퇴경제에 관한 가장 실제적이고 의미있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금융이해력(Financial Literacy)'을 이해하고, 직접 OECD에서 주도한 성인 금융이해력 수준을 시험형태로 점검하고 실습하게 된다.

강의실에서 듣고 토론하는 강의뿐만 아니라 '워크북'을 통해서 '금융이해력' 문제도 풀어보고, 금융사기 취약 자기 점검표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금융사기에 노출될 가능성을 점검하고 예방하는 방법을 배운다.

강의 수준이 다소 높을수도 있지만 이번 과정은 인생대학원 교수를 양성하기 위한 과정이고, 각 과목별로 우수 교수를 선발하기 위한 과정이므로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은퇴 후 겪게 되는 경제현상에 대해 공신력 있는 근거와 통계,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이해도를 높이며 왜 그런 현상이 발생되었는지에 대한 대안과 다양한 시각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게 될 것이다.

9과목 중 첫 번째 경제과목의 과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다음 번에는 거주(Habitation) 과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1 0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