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건강’을 꼽는다. 하지만 ‘건강하다’는 것을 측정하는 기준은 WHO(세계보건기구)에서 정한 건강과 우리네 일반적인 생활습관 속에서의 건강과는 매우 다르다. 무엇이 다르고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건강한 것’인지에 대해서 알아본다.
WHO의 국제 기능 장애 건강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의 개념을 통해 건강의 정의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ICF는 단순히 질병의 유무만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신체 기능, 활동 수행 능력, 사회 참여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건강을 평가한다. 이를 통해 보다 포괄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개인의 생활 속에서 건강을 어떻게 유지하고 증진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ICF 개요

<출처: 세계보건기구(WHO). (2016).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 한글번역본 제2 차 개정판. 10 페이지, 표1>
또 인생에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세계 각국 시니어들의 대답을 살펴보며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기회를 갖는다.
신체적 건강으로 꼽는 의료적 측면에서의 건강(Health)과 의료외적인 건강(Fitness)을 포괄하는 건강(Wellness)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신체적 건강을 증진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운다.
정신적 건강에 대해서 의미와 대처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정신건강에 우울과 신체건강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알게 된다. 또한 은퇴와 함께 오는 심리적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근본 원인과 해결방법을 알아본다. 특히 정신적 건강에 대한 세계 여러 나라의 사례를 비교 점검하며 불안장애나 우울증, 섭식장애 상황도 들여다보고, 평온하게 보낸 하루를 되새기면서 지내는 방법을 함께 토론하고, 나라별 신앙, 종교, 영성에 관한 주제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의미를 주고 있는지 확인해 보게 된다.
나라별 질병 부담대비 보건비 지출을 비교해 보고, 장애보정손실수명(DALY), 건강상실년수(YLD) 그리고 수명손실년수(YLL)에 대해서 배운다. 또한 노쇠에 따라 노인을 구분하는 기준이 있다는 것을 배우고, 가장 두려워하는 인지증에 대해서 알아보고 극복하는 방법을 익히게 된다.
건강 과목은 전체 과목 중 ‘워크북’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할당하게 되는데, 11가지 자기 진단으로 기초건강 자기 진단, 강박증 자기 진단, 갱년기 정신건강, 성인 인터넷 중동, 노인성 인지기능장애 자기 진단, 외상수 스트레스장애(PTSD), 자기 진단 스트레스 자가척도(PSS), 자기 진단 범불안 장애척도(GAD-7), g한국판 우울증 척도(CES-D)를 통해서 자신의 건강상태와 치매 자기 진단법에 대해서 진단하고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물론 각 항목별 자가진단은 간이검사이기에 개인적인 참고일 뿐, 전문적인 판단은 의사에게 진료와 상담을 받아야 하는 부분이다. 그래도 생소하게 느껴지는 진단명에 대한 진단항목을 통해 ‘건강’에 대한 전문성은 높아지기 마련이다.
건강을 비롯한 나만의 멋진 사례와 스토리를 공유하고 싶은 시니어와 칼럼리스트를 현재 ㈜캐어유에서 모집하고 있다. 시니어 칼럼니스트의 칼럼은 ㈜캐어유가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비롯하여 블로그, 까페, 인스타그램 및 페이스북 등 SNS에 실명으로 소개될 예정이다.
응모방법은 ㈜캐어유의 대표 이메일(info@careyou.org)에 본인의 이력서와 샘플칼럼을 송부하여 내부 심사를 거쳐서 확정하게 되는데, 합격자는 개별 통지하며 모집기한은 오는 8월 31일까지 1기 모집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인생대학원 교수양성과정 우수수료생의 경우 전직 지원 전문강사로 정규직원 기회도 함께 주어질 예정이다.
다음에는 ‘인식(Recognition)’ 과목에 대해서 알아본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건강’을 꼽는다. 하지만 ‘건강하다’는 것을 측정하는 기준은 WHO(세계보건기구)에서 정한 건강과 우리네 일반적인 생활습관 속에서의 건강과는 매우 다르다. 무엇이 다르고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건강한 것’인지에 대해서 알아본다.
WHO의 국제 기능 장애 건강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의 개념을 통해 건강의 정의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다. ICF는 단순히 질병의 유무만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신체 기능, 활동 수행 능력, 사회 참여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건강을 평가한다. 이를 통해 보다 포괄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개인의 생활 속에서 건강을 어떻게 유지하고 증진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ICF 개요
<출처: 세계보건기구(WHO). (2016). 국제기능장애건강분류(ICF) 한글번역본 제2 차 개정판. 10 페이지, 표1>
또 인생에서 무엇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세계 각국 시니어들의 대답을 살펴보며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기회를 갖는다.
신체적 건강으로 꼽는 의료적 측면에서의 건강(Health)과 의료외적인 건강(Fitness)을 포괄하는 건강(Wellness)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신체적 건강을 증진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운다.
정신적 건강에 대해서 의미와 대처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정신건강에 우울과 신체건강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알게 된다. 또한 은퇴와 함께 오는 심리적 위기를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근본 원인과 해결방법을 알아본다. 특히 정신적 건강에 대한 세계 여러 나라의 사례를 비교 점검하며 불안장애나 우울증, 섭식장애 상황도 들여다보고, 평온하게 보낸 하루를 되새기면서 지내는 방법을 함께 토론하고, 나라별 신앙, 종교, 영성에 관한 주제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의미를 주고 있는지 확인해 보게 된다.
나라별 질병 부담대비 보건비 지출을 비교해 보고, 장애보정손실수명(DALY), 건강상실년수(YLD) 그리고 수명손실년수(YLL)에 대해서 배운다. 또한 노쇠에 따라 노인을 구분하는 기준이 있다는 것을 배우고, 가장 두려워하는 인지증에 대해서 알아보고 극복하는 방법을 익히게 된다.
건강 과목은 전체 과목 중 ‘워크북’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할당하게 되는데, 11가지 자기 진단으로 기초건강 자기 진단, 강박증 자기 진단, 갱년기 정신건강, 성인 인터넷 중동, 노인성 인지기능장애 자기 진단, 외상수 스트레스장애(PTSD), 자기 진단 스트레스 자가척도(PSS), 자기 진단 범불안 장애척도(GAD-7), g한국판 우울증 척도(CES-D)를 통해서 자신의 건강상태와 치매 자기 진단법에 대해서 진단하고 결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물론 각 항목별 자가진단은 간이검사이기에 개인적인 참고일 뿐, 전문적인 판단은 의사에게 진료와 상담을 받아야 하는 부분이다. 그래도 생소하게 느껴지는 진단명에 대한 진단항목을 통해 ‘건강’에 대한 전문성은 높아지기 마련이다.
건강을 비롯한 나만의 멋진 사례와 스토리를 공유하고 싶은 시니어와 칼럼리스트를 현재 ㈜캐어유에서 모집하고 있다. 시니어 칼럼니스트의 칼럼은 ㈜캐어유가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비롯하여 블로그, 까페, 인스타그램 및 페이스북 등 SNS에 실명으로 소개될 예정이다.
응모방법은 ㈜캐어유의 대표 이메일(info@careyou.org)에 본인의 이력서와 샘플칼럼을 송부하여 내부 심사를 거쳐서 확정하게 되는데, 합격자는 개별 통지하며 모집기한은 오는 8월 31일까지 1기 모집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또한 이번 인생대학원 교수양성과정 우수수료생의 경우 전직 지원 전문강사로 정규직원 기회도 함께 주어질 예정이다.
다음에는 ‘인식(Recognition)’ 과목에 대해서 알아본다.